고고
-
고대인의 청각·시각 유전자: 감각 능력도 진화했나?고고 2025. 4. 7. 16:25
1. 서론: 감각 능력은 환경 속에서 진화한다인류는 오랜 세월 동안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해왔다. 그 적응의 핵심 중 하나는 감각기관의 발달이며, 그 감각의 토대는 유전자에 새겨져 있다. 특히 청각과 시각은 고대 인간의 생존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진화했는지를 고고유전학은 오늘날 유전자 분석을 통해 밝혀내고 있다. 신석기 이전 수렵·채집 생활을 하던 인류는 멀리 있는 동물의 소리를 감지하거나, 어두운 밤중에도 먹잇감을 식별할 수 있어야 했다. 이러한 생존 조건은 감각 유전자의 선택압으로 작용했으며, 수천 년에 걸쳐 특정 유전자가 강화되거나 약화되었다. 현대인의 감각 능력은 그 유전적 결과물이며, 일부 감각의 쇠퇴나 강화는 환경의 변화와 직결된다. 이번 글에서는 고대인의 청각과..
-
고대 유전자가 현대 스포츠 능력에 미치는 영향고고 2025. 4. 5. 15:24
– 인간의 운동 능력, 유전자에서 시작되다 1. 고대인의 생존 방식이 남긴 유전적 흔적고대 인류는 단순히 살아남는 것이 목적이 아닌, 끊임없이 움직이고, 사냥하고, 도전하는 삶을 살았다. 이들은 수렵과 채집, 전투와 이주라는 극한 환경 속에서 신체적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려야 했으며, 이 과정에서 운동 능력에 유리한 유전적 특성이 자연스럽게 선택되었다. 예를 들어, 구석기 시대 인류는 하루 수십 킬로미터를 걷고 뛰며 먹이를 쫓았고, 사냥에 필요한 순발력과 근력이 생존을 좌우했다.고고유전학 연구는 고대 유골의 DNA 분석을 통해 운동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인류 초기부터 존재했음을 밝혀냈다. 대표적으로 ACTN3 유전자, ACE 유전자, 그리고 MSTN(근육 형성 억제 유전자) 등이 있으며, 이러한 유전자들은..